금융 & 연금 투자 (Finance & Retirement)/연금 계좌 투자 (KR)

IRP(개인형 퇴직연금)란? 세금 혜택부터 투자 방법까지

Imperator 2025. 3. 5. 18:12

 

1. IRP(개인형 퇴직연금)란?

IRP(Individual Retirement Pension)는 퇴직금이나 추가 납입금을 본인이 직접 운용하는 퇴직연금 계좌야.
연금저축 계좌와 비슷하지만, 퇴직금도 운용할 수 있고 세금 혜택이 더 크다는 장점이 있어.

IRP의 특징
✅ 퇴직금 + 추가 납입 가능 (연간 최대 1,800만 원)
✅ 투자 상품 선택 가능 (ETF, 펀드, 채권 등)
✅ 세액공제 혜택 (최대 16.5% 공제)
✅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(일반 인출 시 세금 부과)

IRP는 직장인, 자영업자, 프리랜서 모두 개설할 수 있어!


2. IRP vs 연금저축 차이점

구분 IRP (개인형 퇴직연금) 연금저축 계좌

가입 대상 직장인, 자영업자, 프리랜서 누구나 가입 가능
퇴직금 입금 가능? 가능 불가능
세액공제 한도 최대 700만 원 (연금저축 포함 시) 최대 400만 원
투자 가능 상품 ETF, 펀드, 예금, 채권 등 ETF, 펀드, 예금, 채권 등
연금 수령 시기 55세 이후 가능 55세 이후 가능
일반 인출 시 세금 기타소득세 16.5% 기타소득세 16.5%

IRP는 연금저축보다 세액공제 한도가 더 크고, 퇴직금도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야!


3. IRP 계좌 개설 & 세액공제 혜택

✅ IRP 개설 방법

  1. 은행, 증권사에서 IRP 계좌 개설 (비대면 개설 가능)
  2. 퇴직금 이체 또는 개인 납입 (연간 최대 1,800만 원)
  3. ETF, 펀드, 채권 등 투자 상품 선택
  4. 55세 이후 연금 형태로 수령

✅ 세액공제 혜택

  • 연간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
    • 연금저축과 합쳐서 400만 원(기본) + 300만 원(IRP 추가) = 총 700만 원
  • 세액공제율 (종합소득 기준)
    • 연 소득 5,500만 원 이하: 16.5% 공제
    • 연 소득 5,500만 원 초과: 13.2% 공제

예시: 연봉 7,000만 원 직장인이 IRP에 700만 원 넣으면?
약 92만 원(700만 원 × 13.2%) 절세 효과!


4. IRP 투자 추천 상품

S&P 500 ETF (VOO, SPY, IVV) – 미국 대형주 지수 추종
나스닥 100 ETF (QQQ) – 기술주 중심 투자
배당 ETF (VYM, SCHD) – 안정적인 배당주 투자
TDF (Target Date Fund) – 자동 리밸런싱 되는 펀드
채권형 펀드 – 안정적인 자산 운용

IRP 계좌는 장기 투자가 중요하므로, 미국 ETF나 배당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짜는 것이 유리해!


5. IRP 운용 시 주의할 점

✔ 너무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장기적인 분산 투자
✔ 세액공제를 위해 꾸준히 납입 (연말 정산 시 혜택 극대화)
✔ 중도 인출하면 기타소득세 16.5% 부과 (가급적 연금으로 수령)
✔ ETF, 펀드 수익률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리밸런싱 필요

IRP는 퇴직금 관리와 세금 절약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좋은 제도야!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게 중요해.